한국모바일인증 간편본인확인 서비스 사용방법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기존의 주민등록번호 수집이 금지되면서 대안으로 본인확인서비스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요, 이러한 주민번호 대체 인증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이핀, 공인인증서, 휴대폰본인인증 세 가지 방법이 있답니다.
하지만 최근에 정부가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를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처럼 금융기관마다 별도로 등록해야 하는 공인인증서는 개인적으로 사용하기 불편한 부분이 있었어요.
때문에 온라인쇼핑이나 비밀번호 찾기와 같이 본인인증을 많이 이용하는 저의 경우는 휴대폰을 이용해 실명인증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 간편본인확인(앱) VS 휴대폰본인확인(문자)
한국모바일인증에서 제공하는 휴대폰 본인인증방식으로는 스마트폰의 앱을 활용한 간편본인확인과 문자를 활용한 휴대폰본인확인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두 방식 모두 본인 명의의 휴대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민번호와 같은 예민한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고도 최소한의 정보 입력만 필요해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준답니다.
오늘은 간편본인확인(앱)과 휴대폰본인확인(문자)의 2가지 서비스의 특징과 이용방법 모두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편본인확인(앱)은 개인정보 입력 없이 비밀번호만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본인인증을 할 수 있는 간편본인확인 서비스입니다. 저는 SKT를 이용하고 있어 T인증을 통해 간편본인확인을 하고 있습니다.
T인증의 경우, 먼저 본인확인을 하기 위해 구글플레이나 앱스토어에서 T인증 앱을 다운받아야 합니다.
본인인증 확인 과정에서 통신사를 SKT로 선택하면 ‘간편본인확인(앱)’이 보이시죠. 여기서 간편본인확인(앱을) 선택하고 이름과 휴대폰번호를 입력하면 나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T인증 어플이 실행되며 ‘간편 본인확인 요청’ 팝업이 뜹니다.
여기서 T인증 어플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절차는 끝난답니다. 간편본인확인의 경우 초기에 설정한 비밀번호 또는 지문등록 두 가지 방식으로 어플에서 인증을 할 수 있는데요, 저의 경우에는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등록해서 지문인식으로 본인확인을 마쳤어요.
다음으로는 SMS을 활용한 휴대폰본인확인 방법도 보여드릴게요.
휴대폰본인확인(문자)도 간편본인확인과 마찬가지로 휴대폰본인인증을 선택해주시고 열린 팝업창에서 휴대폰본인확인(문자)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정보란에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 보안숫자를 입력한 후 한국모바일인증에서 온 인증번호 6자리를 입력해주면 본인확인절차가 끝나게 됩니다.
휴대폰 본인인증서비스는 하루 5번 이상 실패 시 당일 이용은 제한되고 00시를 기준으로 제한이 해제된다는 사실 기억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또한 통신사 정보 기반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본인명의의 핸드폰이 아니라면 이용할 수 없답니다.
만약 본인인증에 오류가 나거나 다른 문제가 발생하신다면 한국모바일인증 고객센터인 1644-1863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비용 발생없이 간편하게 휴대폰 인증만으로 본인확인이 가능한 한국모바일인증 휴대폰 본인확인서비스! 간편본인확인(앱) 또는 휴대폰본인확인(문자) 두 가지 중 본인에게 편한 방법으로 선택해서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자극에 좋은 사소한 행동들 (0) | 2018.02.07 |
---|---|
Myotp 써볼 만한 서비스 (0) | 2018.02.06 |
기립성 저혈압 원인 & 증상 (0) | 2018.01.30 |
색조합 사이트 추천 (0) | 2018.01.29 |
정현 선수, 호주 오픈 준결승 진출 소식! (0) | 2018.01.24 |